기술적 분석/Price Action

차트패턴2. 핀 바, 인사이드 바

chki74 2023. 9. 26. 21:03
반응형

 

2023.09.01 - [기술적 분석/Price Action] - 차트패턴 1.기본적 캔들스틱 패턴

저번 시간에는 기본적인 캔들스틱 패턴을 배웠다. 이번 시간에는 해외 트레이더들이 자주 사용하는 패턴 중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두 가지 패턴을 더 가지고 왔다.

 

1.핀 바(pin bar)

핀바의 정의와 사용

핀 바는 바늘처럼 뾰족한 캔들스틱이 형성된 경우를 말한다. 저번 시간에 말한 망치형, 역망치형, 유성형, 교수형이 핀 바의 한 유형에 속한다.

 

만약 여러분들이 중요한 구간에서 핀 바를 발견했으면 좋은 매수, 매도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핀 바라고 해석할 수 있는 종류의 캔들유형

차트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이나 정의(definition)가 중요한 사람들이 어려워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Q1.꼬리가 있으면 무조건 핀 바인가요?

A.아니다. 몸통에 비해 매우 짧은 꼬리는 핀 바라고 볼 수 없다.

 

Q2.꼬리가 어느 정도 길어야 핀 바인가요?

A.나는 최소 몸통과 꼬리가 동일한 비율로 형성된 캔들을 핀 바라고 해석한다.

 

Q3.핀 바가 출현하면 무조건 매수, 매도를 해야 할까요?

A.아니다. 핀 바는 신호로 해석해야 한다. 이 때 우리가 해야할 것은 주변 상황과 맥락을 파악한 후 매수, 매도를 할 준비를 해야하는 것이다. 

 

캔들은 상대적인 것이다. 아무리 짧아도 주변 캔들보다 길다면 유의미한 캔들이다. 아무리 길어도 주변 캔들보다 짧다면 유의미하지 않은 캔들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핀바가 연속해서 출현하는 경우

만약 핀바가 연속해서 출현하는 경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차트 예시를 하나 보자.

 

BTC 30분봉 차트

 

동그란 원으로 표시한 부분을 보면 긴 꼬리가 출현한 것을 볼 수 있다. 가격이 특정 가격을 넘지 못하고 계속해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캔들들을 보면 핀 바 이외에도 큰 양봉 이후에 큰 음봉이 같이 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큰 시간봉에서 볼 경우 다시 핀 바의 형태로 보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럴 경우 핀 바의 신뢰도가 올라간다. 우리는 좀 더 자신감을 가지고 매도 포지션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밑에서도 똑같이 핀 바가 출현하는 것들을 볼 수 있다. 왼쪽에 밑에 있는 핀 바들을 기반으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중간에 있는 위쪽 핀 바들을 기반으로 기존 매수 포지션 종료 혹은 매도 포지션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매수 매도 포지션을 구축할 때 여러분들이 하고 싶어 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각질을 잡는 것이다 각질을 잡는 것이 무엇인가? 핀 바 캔들을 보면 긴 꼬리를 남기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꼬리의 가장 윗 쪽 혹은 아랫쪽에서 매수, 매도 포지션을 잡는 것을 각질을 잡는 다고 말한다. 만약 여러분들이 1분봉으로 스캘핑을 하는 트레이더라면 그렇게 해도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그런 행위는 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린다. 우리는 각질을 잡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신호를 기반으로 좋은 손익비 트레이딩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2.인사이드 바(inside bar)

솔직히 나는 인사이드바에 대해서 이해가 잘 안된다. 이해가 안되기 때문에 실전 트레이딩에서 활용도 어렵다. 나는 잘 사용하지 못하지만 해외의 프라이스 액션 기반 트레이더들은 기본적으로 탑제하고 있는 패턴이다. 저번 시간에서 다루었던 캔들 패턴에서는 하라미(harami)라고 표시되어 있다. 하라미는 임신, 잉태를 말하는 일본어인데 그림을 보자.

내가 나름 알아보고 정리한 것은 다음과 같다.

 

인사이드 바에 대한 이해

인사이드 바 설명

인사이드 바는 엄마봉(mother bar)자식봉(inside bar)로 이루어져 있다. 부모가 자식을 낳았다. 자식은 부모보다 작다 그렇게 이해하시면 되겠다.

인사이드바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1.인사이드 바는 우선 일봉 차트에서 가장 활용이 잘 된다고 이야기된다.

2.인사이드 바는 추세 지속 혹은 반전되는 것과 연계되어 사용한다. 이는 주요 지점의 맥락을 이용해 해석할 수 밖에 없다.

3.인사이드 바는 엄마봉의 출현 이후 자식봉의 전체 크기(꼬리와 몸통의 합)가 엄마봉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성립된다.

 

엄마봉>자식봉

 

인사이드 바의 예시를 살펴보자.

S&P 500 지수 일봉 차트

 

위 차트는 S&P 500지수의 일봉 차트다. 보면 반전형과 지속형 인사이드바 두 가지를 가지고 왔다. 위 두가지는 아주 예쁜 예시를 가지고 왔다. 특히 첫번째 예시는 엄마봉보다 자식봉이 꼬리를 포함해서 예쁘게 감싸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인사이드 바는 좋은 예시를 찾기도 힘들 뿐더러 실제로 활용하는 것도 어려웠다. 실제로 쉽게 접하기 좋은 패턴들은 핀 바와 엔글핑 패턴인 것 같다. 하지만 알아둬서 손해볼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인사이드 바가 출현하는 이유

이건 내 개인적인 해석인데 인사이드 바는 일종의 조정을 주는 봉이라고 해석하는게 맞는 것 같다.  그래서 좋은 예시가 잘 나오기 어려운 것이고 말이다. 인사이드바 이후에 한 두개의 봉은 대부분 추세가 지속되는 형태로 가는 것 같다. 하지만 추세적으로는 맥락에 따라서 해석해야 하는 것 같다.

 

 

 

인사이드 바의 장점

인사이드 바는 이전 봉인 엄마봉을 기준으로 손절과 익절을 설정하면 된다. 트레이딩 셋업이 매우 심플하고 편리하다. 그리고 그 셋업은 대부분 좋은 손익비가 나온다. 다음은 손익시 설정 예시다.

 

 

3.마무리

오늘은 핀 바와 인사이드바에 대해서 배워봤다. 개인적으로 둘 다 어려우면서, 특히 인사이드 바는 다시금 공부하면서 실전에서 활용하기 힘들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다. 하지만 우리가 기술적 분석을 활용해 매매할 것이라면 이정도는 여유롭게 익히고 가는 것이 도리가 아닐까 싶다. 한걸음씩 올라가는 것이 우리를 경제적 자유로 이끌 것을 의심치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