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의 기본인 차트. 알아야 하는 이유

반응형

여기서 말하는 차트는 캔들스틱 차트만을 다룬다.

다른 종류들의 차트 종류들이 존재하지만 우리가 보편적으로 보게 되는 차트는 이 캔들스틱 차트이기 때문에 다른 차트가 궁금한 사람들은 따로 찾아보기를 권장한다.

 

핵심요약

  • 캔들스틱 차트는 특정 기간 동안 거래된 품목의 고가, 저가, 시가 및 종가를 표시한다.
  • 캔들스틱는 미국에서 대중화되기 수백 년 전에 쌀의 가격과 하루 가격 모멘텀을 추적하기 위해 일본 쌀 상인과 무역상으로부터 시작되었다.
  • 캔들스틱은 차트 패턴을 사용하는 트레이더부터 많은 투자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1.차트의 정의

 

 

Image by Julie Bang © Investopedia 2019

캔들스틱 차트는 특정 시간 동안 가격의 변화를 그림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 차트에 들어가는 것이 바로 캔들들이다.

한국에서는 보통 파랑색빨간색을 사용할 것이다.

 

빨간색은 특정한 시간 동안 가격이 상승 했을 때 사용하고 양봉이라고 부른다.

파란색은 특정한 시간 동안 가격이 하락 했을 때 사용하고 이라고 부른다.

 

그림의 캔들 가운데 뚱뚱한 부분을 몸통이라고 부른다. 특정 기간 동안 가격의 실질적인 변화를 나타내준다.

캔들 위 아래로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는 부분꼬리라고 부른다. 특정 기간동안 변화했지만 실질적인 변화로 나타나지 않은 부분을 말한다.

여기서 실질적인 변화란 특정 기간의 마감, 즉 종가를 말하는 것이다. 예시를 한 번 보자

 

삼성전자 일봉 차트이다. 일봉차트라고하면 하루 단위로 끊어서 캔들로 표현한 것이다.

마지막 봉이 가장 최근 날짜인 2023-02-03이다. 확대해서 보면 다음과 같다.

삼성전자 2023-02-03 일봉

이 캔들이 의미하는 것은

63900원에서 시작해서

64000원까지 올랐다가

63000원까지 떨어지고

막판에 63800원으로 3일을 마감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 과정을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이를 까보기 위해서는 작은 시계열로 변환해야 한다. 1시간 단위로 쪼개서 보면 다음과 같다.

 

위 차트를 보게되면 9시 장이 시작할 때 조금 상승했다가 10시에 훅 빠졌다가 11시부터 서서히 올라가더니 나머지는 63800부근에서 왔다갔다 하다가 하루를 마감한 것을 볼 수 있다.

2.차트의 유래

에도(江戶)막부 시절 일본의 경제 중심지였던 오사카(大阪)에는 전국 각지에서 모인 쌀을 거래하는 도지마 곡물 거래소에서 혼마 무네히사(本間宗久, 1717~1803)라는 상인이 개발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삼공, 삼병, 삼산, 삼천, 삼법이라는 사카다 5이라는 매매기법도 개발했다. 여기서는 다루지 않겠다.

 

혼네 마사무네 아조씨...

여기서 이 사람이 발견한 중요한 것은 "일본인은 가격과 쌀의 수요와 공급 사이에 연관성이 있지만 시장은 상인의 감정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라는 사실이라는 점이다.

이를 미국에서 대중화 시킨 사람은 여럿 있는데 나는 Steve Nison이 핵심적 공헌을 했다고 본다. 어떻게 대중화 시켰는지를 알고 싶다면 이 사람의 JAPANESE CANDLESTICK CHARTING TECHNIQUES 라는 책을 보시길 추천한다.

3.차트의 필요성

기본적 분석(흔히 주식에서 가치투자쪽을 말한다고 보면 된다)을 지향하는 사람들은 기술적 분석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만약 당신이 기술적 분석을 채용하고, 또 차트를 보기로 마음 먹었다면 믿어야 하는 사실 한 가지가 있다. 그것은 바로

"차트는 가격을 시각화 한 것이고, 차트에는 거래자들의 심리가 담겨있다."

 

이러한 믿음을 기반으로 우리는 특정 상품들을 가격을 예측하면서 거래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당신에게 이 믿음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기술적 분석을 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것이다. 다른 무엇보다 이것을 믿어야만 기술적 분석에 입문할 수 있다. 

 

참고자료

https://www.investopedia.com/trading/candlestick-charting-what-is-it/

https://www.investopedia.com/terms/c/candlestick.asp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0/23/2013102302900.html

반응형